전체 글

클라우드엔지니어 현직자의 IT 성장일기
1. Object Storage 버킷 생성Object Storage를 이용하기 위해 버킷(Bucket)을 생성합니다. 버킷을 생성하면 내부에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를 업로드할 버킷을 생성합니다.카카오클라우드 콘솔에 접속 후, Object Storage 메뉴를 선택합니다.일반 버킷 메뉴에서 [버킷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새 버킷 생성 팝업창에서 다음과 같이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2. 생성한 버킷에 대한 접근 설정버킷을 생성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라이프 사이클 설정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외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수정하여 퍼블릭 액세스 허용해야 합니다. 버킷에 대한 퍼블릭 접속을 허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
1. 사전 준비1-1 API 인증 토큰 발급사용자 로컬 머신의 터미널에 접속합니다. 아래 명령에서 ACCESS_KEY와 ACCESS_SECRET_KEY를 각각 '액세스 키'와 '보안 액세스 키' 값으로 수정합니다. 그 다음 아래 API 인증 토큰을 발급받는 명령을 실행합니다.API 사용 준비 문서를 참고하여 API 인증 토큰을 발급하시기 바랍니다.export API_TOKEN=$(curl -s -X POST -i https://iam.kakaocloud.com/identity/v3/auth/tokens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auth": { "identity": { "methods": [ ..
클라우드 로키 리눅스 환경 인스턴스에 도커가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후 쿠버네티스를 설치하는 과정입니다.1. Kubernetes 저장소 설정Kubernetes 관련 패키지를 설치할 수 있도록 YUM 저장소를 추가합니다.cat  2. Kubernetes 패키지 설치 및 kubelet 활성화Kubernetes의 주요 구성 요소를 설치하고 kubelet 서비스를 활성화합니다.sudo yum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disableexcludes=kubernetessudo systemctl enable --now kubelet 3. containerd 서비스 확인 및 설정Kubernetes는 containerd를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사용하므로 설정을 올바르게 구성해야 합니..
1) 쿠버네티스란?쿠버네티스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도구의 일종이다.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이란 시스템 전체를 통괄하고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일을 말한다. 2)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쿠버네티스는 전체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 마스터노드와 실제 동작을 담당하는 - 워커노드로 구성된다. 마스터 노드 - 컨테이너를 실행하지는 않으며 워커 노드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역할 수행(엔진 설치 x)워커 노드 - 실제 서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컨테이너가 실제 동작하는 서버(엔진 설치)클러스터 - 마스터 노드와 워커 노드로 구성된 일군의 쿠버네티스 시스템 3) 컨트롤 플레인과 kubelet마스터 노드는 컨트롤 플레인을 통해 워커 노드를 관리한다.컨트롤 플레인은 아래 표에 정리된 다섯 가지의 컴포넌트로 ..
1) 사전준비FFmpeg 관련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1) 아래 명령을 실행하여 비디오 파일 인코딩과 segmentation을 지원하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FFmpeg을 설치합니다.# ffmpeg 설치brew install ffmpeg 2) Python FFmpeg를 사용하기 위해 아래의 명령을 실행해 Python FFmpeg Video Streaming 패키지를 설치합니다. 해당 패키지는 DASH 및 HLS와 같은 온라인 스트리밍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패키지화합니다.# Python FFmpeg Video Streaming 설치pip install python-ffmpeg-video-streaming 2) Object Storage 버킷 & 폴더 생성하기Object Storage 버킷 & 폴더 생성에 ..
KIC에서 7개의 도커 컨테이너로 실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웹서비스를 구축 "ㄴ Nginx 기반의 Reverse Proxy" ㄴ MySQL 5.7(데이터베이스) ㄴ HTML/CSS/JS 지원 가능한 나만의 웹서비스(프론트엔드 서버) ㄴ 워드프레스 블로그 서비스 ㄴ 나만의 백엔드 서버1(flask + gunicorn) ㄴ 나만의 백엔드 서버2(PHP-FPM) ㄴ HTTPS 지원 ㄴ KIC LB에서 인증서 적용 ㄴ KIC LB에서 로드밸런싱 적용 ㄴ 도커 스웜을 이용한 다중화 구축 ㄴ 모니터링 서비스 구축 및 적용(과제 작품 활용) KIC(VirtualMachine + LoadBalancer + FileStorage)      ..
점프킹
점프킹의 비밀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