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클라우드

1. 프로젝트 flow코드 빌드 및 컨테이너화: 코드가 업데이트되면 파이프라인 작업을 실행 시킵니다.이미지 업로드: 파이프라인 도구를 사용하여 소스 코드를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으로 변환합니다. 생성된 컨테이너 이미지는 카카오클라우드 Container Registry에 푸시됩니다.매니페스트 업데이트: 업로드된 컨테이너 이미지에 대한 정보가 배포 매니페스트를 관리하는 깃 저장소에 업데이트됩니다. 이 단계는 새 이미지 세부 정보를 배포 구성에 통합합니다.코드 업데이트 감지: ArgoCD는 배포 매니페스트를 포함하는 깃 저장소의 변경 사항을 모니터링합니다.ArgoCD를 이용한 배포 자동화: 업데이트가 감지되면 ArgoCD가 이러한 변경 사항을 인프라에 자동으로 적용하여 수동 개입 없이 최신 애플리케이션 버전..
1. Bastion 호스트 설정​Load Balancer와 MySQL을 사용한 Virtual Machine 기반의 웹 애플리케이션를 배포합니다. 이를 위해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는 Bastion 호스트를 설정합니다.1.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Compute Service > Virtual Machine에서 아래 표의 Bastion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인스턴스 이름handson-bastion개수1인스턴스 유형m2a.large이미지Ubuntu 20.04볼륨 크기10서브넷public퍼블릭 IP연결 2. Beyond Networking Service > VPC 메뉴에서 보안을 선택합니다. 외부에서 Bastion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보안 그룹과 인바운드 규칙을 설정합니다.인바운드 규칙프로토..
1. Object Storage 버킷 생성Object Storage를 이용하기 위해 버킷(Bucket)을 생성합니다. 버킷을 생성하면 내부에 객체 단위로 데이터를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웹 사이트를 업로드할 버킷을 생성합니다.카카오클라우드 콘솔에 접속 후, Object Storage 메뉴를 선택합니다.일반 버킷 메뉴에서 [버킷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새 버킷 생성 팝업창에서 다음과 같이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2. 생성한 버킷에 대한 접근 설정버킷을 생성하여 객체에 대한 접근 권한 및 라이프 사이클 설정 등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외부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접근 권한을 수정하여 퍼블릭 액세스 허용해야 합니다. 버킷에 대한 퍼블릭 접속을 허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
1. 사전 준비1-1 API 인증 토큰 발급사용자 로컬 머신의 터미널에 접속합니다. 아래 명령에서 ACCESS_KEY와 ACCESS_SECRET_KEY를 각각 '액세스 키'와 '보안 액세스 키' 값으로 수정합니다. 그 다음 아래 API 인증 토큰을 발급받는 명령을 실행합니다.API 사용 준비 문서를 참고하여 API 인증 토큰을 발급하시기 바랍니다.export API_TOKEN=$(curl -s -X POST -i https://iam.kakaocloud.com/identity/v3/auth/tokens -H "Content-Type: application/json" -d \'{ "auth": { "identity": { "methods": [ ..
1) 시나리오 소개이 문서에서는 카카오클라우드 VPC 환경에서 NAT 인스턴스를 통해 프라이빗 서브넷의 인스턴스들이 안전하게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이 시나리오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NAT 인스턴스 생성 및 설정: 외부 통신을 지원하는 NAT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설정합니다.라우팅 테이블 구성: 프라이빗 서브넷에 대한 라우팅 테이블을 생성하고 외부 인터넷을 향하는 요청을 해당 가용 영역의 NAT 인스턴스로 라우팅하도록 구성합니다.보안 그룹 및 인바운드 정책 설정: 보안을 위해 NAT 인스턴스를 통하는 요청을 80(HTTP)과 443(HTTPS) 포트로 제한합니다. 2)VPC 및 서브넷 생성1) VPC 및 서브넷 생성- 카카오클라우드 콘솔 > Beyond Ne..
1) 도커 레지스트리 설치 및 실행아래 명령어를 통해 도커 레지스트리를 설치 및 실행 한다.1) 도커 레지스트리 설치docker pull registry  2) 도커 레지스트리 실행docker run -d —name registry -p 5000:5000 registry2) daemon.json 설정Docker Registry에 접근할 서버에 해당 설정을 해주지 않으면 push/pull 명령어 수행시 "server gave HTTP response to HTTPS client" 오류가 발생Linux 경로 : /etc/docker/daemon.jsonWindows, Mac 경로 : ~/.docker/daemon.json아래 내용 추가 후 Docker 재실행1) vi /etc/docker/daemon.jso..
점프킹
'카카오클라우드'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