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혼동되는 용어 정리(파드, 컨테이너, 어플리케이션)
컨테이너는 mysql, nginx 등의 서비스를 생성할때 가장 작은 단위로 생성되는 자원
파드는 볼륨을 기준으로 생성된 컨테이너의 묶음
쿠버네티스에서 애플리케이션이란, nginx, mysql 등과 같이 파드, 컨테이너와 달리 기능적인 단위를 표현하는 것.
피드나 컨테이너는 묶여서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으며, 단일 구성이라도 구성만 잘 한다면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음.
2. 자주 쓰이는 kubectl 옵션 명령어(get, run, create, apply, delete, exec, scale, edit) 복습
전체 옵션 명령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음
# get - 오브젝트 조회
kubectl get (오브젝트 타입) # 오브젝트의 기본적인 조회 형태
# run, create, apply - 오브젝트 생성
kubectl run (pod 이름) --image=(image 이름) # 가장 작은 단위로, 간단한 pod만 생성
kubectl create (오브젝트 타입) (오브젝트 이름) --image=(image 이름) # deploy, pod 등 여러 서비스를 구분하여 생성이 가능.
kubectl create -f (yaml 이름) # -f 옵션으로 yaml의 이용도 가능함. 생성만 하고, 관리는 불가능
kubectl apply -f (yaml 이름) # yaml 형태로 deploy, pod 등 여러 서비스를 구분하여 생성하고, 관리도 가능함
kubectl apply -k (Kustomize 파일 이름) # Kustomize 형식으로 오브젝트를 관리하기 위한 옵션
# delete - 오브젝트 삭제
kubectl delete (오브젝트 타입) (오브젝트 이름) # 오브젝트 삭제 기본 형태
kubectl delete -f (yaml 이름) # yaml 삭제
# exec - 파드 내부에 컨테이너로 접속
kubectl exec -it (pod 이름) -- /bin/bash
# scale - 파드 갯수를 늘리거나 줄임... 주로 deploy에 사용됨
kubectl scale deploy (deploy 이름) --replicas=(변경할 숫자)
# edit - 배포된 오브젝트를 수정
kubectl edit (오브젝트 타입) (오브젝트 이름) # 배포된 오브젝트 yaml 형식으로 편집
3. 자주 쓰이는 kubectl 옵션 명령어(-o yaml, --dry-run=client) 1부
kubectl get 입력 시 -o 옵션을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yaml 형태로 표현할 수도 있음.
또한 kubectl run, create, apply 등 작업 실행 시 --dry-run=client 옵션을 이용해 테스트 실행을 하겠다는 옵셥도 선택이 가능함.
# -o yaml
kubectl get pod (오브젝트 이름) -o yaml
# --dry-run=client
kubectl run (오브젝트 이름) --image=(image 이름) --dry-run=client -o yaml # 명령어 실행은 되지만, 실제 자원이 생성되지는 않음.
4. 자주 쓰이는 kubectl 옵션 명령어(events, describe, logs) 2부
상태를 알 수 있는 명령어들로, 굉장히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임.
# events : namespace 단위로 event의 확인이 가능함.. 간단하게 확인하기 편함
kubectl get events # default ns의 event 확인 가능
kubectl get events -n kube-system # kube-system ns의 event 확인 가능
# describe : 묘사하다 라는 뜻을 가진 기능. 배포된 오프젝트의 상태를 파악 가능.. pod의 events를 주로 확인 가능함.
kubectl describe pod (pod 이름)
# logs : describe는 파드 단의 자세한 내용을 확인했다면, logs는 컨테이너 단의 자세한 로그를 확인할 수 있음.
kubectl logs (pod 이름)
'도커&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키 리눅스 인스턴스에 도커 쿠버네티스 설치 (0) | 2025.04.11 |
---|---|
쿠버네티스 볼륨 개념 정리 (0) | 2025.03.05 |
로키 리눅스 기반 쿠버네티스 설치 (0) | 2024.12.06 |
쿠버네티스 개념 및 용어 정리 (0) | 2024.11.21 |
로키 리눅스 기반 도커 컴포즈 파일 작성 및 실행하기 (0) | 2024.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