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상화
단일 장비의 물리적인 요소를 흔히 가상 머신(VM)이라고 하는 다수의 가상 장비로 분할할수 있는 기술
2) 가상화가 필요한 이유
운영체제(OS) : 시스템의 하드웨어 자원과 소프트웨어 자원을 운영 관리하는 프로그램
특권명령 : 시스템의 자원들과 소통할수 있는 명령 -OS만 가능
-OS는 특권명령때문에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하나밖에 돌아갈수 없다
-일반 프로그램은 특권명령이 필요 없기때문에 많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수행 가능
=>가상화가 나오기전에는 하나의 하드웨어 시스템은 하나의 OS만 실행이 가능했다 즉 직접 OS가 하드웨어에 설치된 상태(Bare-Metal)로만 운영됨
3) 가상화의 역사
1) 완전 가상화
모든 시스템의 리소스가 에뮬레이터로 동작한다.
장비의 CPU,마더 보드등등등 모든 요소가 에뮬레이터로 구현되서 OS랑 연동이 된다 => 엄청 느림
2) 하이퍼 바이저 : 호스트의 컴퓨터에서 다수의 운영체제를 동시에 실행 프로그램
게스트OS 는 하이퍼 바이저랑 통신
속도가 향상되었다
몇몇 부분은 여전히 에뮬레이터가 필요 => 느림
3) HVM(Hardware VM)
하드웨어에 직접 가상화를 지원
게스트OS 는 직접 하드웨어와 통신 => (near bare-metal) 빠른속도가 지원된다.
4) VM의 기능
1) 마이그레이션
2) export & inport
3) 스냅샷
4) 클론
'솔데스크 아마존 AWS 클라우드 > AWS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mazon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 (0) | 2023.12.21 |
---|---|
AWS클라우드 EC2(Elastic Coumpute Cloud) (0) | 2023.12.21 |
AWS 클라우드 서비스 (0) | 2023.12.20 |
AWS 클라우드의 기본 개념 (0) | 2023.12.20 |
클라우드 기초 개념 (0) | 2023.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