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mazon EC2(Elastic Coumpute Cloud)의 개념
AWS에서 안정적이며 크기가 조절이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하는 웹서비스
즉 가상 머신으로 재구성이 가능한 컴퓨팅 리소스를 가지고 있어서 쉽게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한 컴퓨팅 파워를 제공한다 또한 필요 영역에 따른 다양한 인스턴스를 제공하고 비용은 종량제로 제공된다 컴퓨팅 리소스에 대한 포괄적인 제어권을 제공하고 아마존의 검증된 컴퓨팅 인프라에서 실행할수 있다.
=>한개에서 수천개의 인스터스로도 확장이 가능하고 모든 공개된 리전에서 사용 가능하고 리눅스/윈도우 OS에서도 사용가능하며 모든 소프트웨어 설치가 가능하며 비용은 종량제로 진행하고 다양한 비용 모델을 가지고 있다 (프리티어됨)
여러 AWS 서비스와 연동이 가능하다 (ex>ELB,auto scaling,cloudwatch등등) EC2를 동작시키려면 EBS를 가장 많이 사용한다.
2) EC2 인스턴스 생성
1) EC2 메뉴에서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한다.
-> 아직 실행한 인스턴스가 없기 때문에 리소스 인스턴스(실행 중)을 살펴보면 0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인스턴스 이름 작성, AMI 설정
인스턴스의 이름을 My_Web으로 작성한다(작성자 임의)
AMI는 프리 티어로 사용 가능한 Amazon Linux 2023 AMI로 사용한다.
3) 인스턴스 유형 설정
인스턴스 유형 역시 프리 티어로 사용 가능한 t2.micro로 사용한다.
4) 키 페어 설정
아직 키 페어를 만들지 않았으므로 키 페어를 생성해준다.
키 페어 이름(임의작성) / 키 페어 유형 RSA / 프라이빗 키 파일 형식 .ppk로 키페어를 생성한다.
생성한 키 페어(My_Putty_Key)로 키 페어를 설정해준다.
5) 네트워크 설정
방화벽에서 기존 보안 그룹을 선택하고 기존에 만들었던 보안그룹(MY_SG)를 선택해준다.
보안그룹 만드는 방법은 이전 포스팅(https://jumpkimg.tistory.com/12)을 참고 바란다.
6) 인스턴스 시작
인스턴스 시작을 클릭해준다.
7) 인스턴스 실행 확인
리소스 부분을 확인하면 인스턴스(실행 중)이 0에서 1로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인스턴스(실행 중)을 클릭하여 들어가보면 내가 실행시킨 인스턴스(My_Web)가 정상적으로 실행 중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솔데스크 아마존 AWS 클라우드 > AWS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클라우드 EC2 인스턴스에 httpd 설치하기 (0) | 2023.12.22 |
---|---|
AWS 클라우드 EC2 인스턴스와 Putty 연동하기 (0) | 2023.12.21 |
AWS 클라우드 EC2 보안그룹 만들기 (0) | 2023.12.21 |
Amazon EBS (Amazon Elastic Block Store) (0) | 2023.12.21 |
AWS클라우드 EC2(Elastic Coumpute Cloud) (0) | 2023.12.21 |